상속세는 자산을 다음 세대로 이전할 때 발생하는 세금으로, 자산 규모가 클수록 부담이 커진다. 특히 한국의 상속세율은 최고 **50%**로, 세계적으로도 높은 수준이다. 따라서 상속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전 절세 전략이 필수적이다. 이번 글에서는 고액 자산가들이 활용하는 주요 상속세 절감 방법을 살펴본다.
1. 상속세 과세 대상과 기본 개념
1-1. 상속세 과세 대상
상속세는 피상속인이 보유한 모든 재산에 대해 과세되며,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자산이 포함된다.
- 부동산 (주택, 상가, 토지 등)
- 금융자산 (예금, 주식, 채권 등)
- 기타 자산 (사업체, 지적재산권 등)
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사망일 기준 자산 평가액을 기준으로 부과되며, 법정 상속분에 따라 상속세율이 결정된다.
1-2. 상속세율 구조
- 1억 원 이하: 10%
- 1억~5억 원 이하: 20%
- 5억~10억 원 이하: 30%
- 10억~30억 원 이하: 40%
- 30억 원 초과: 50%
상속재산이 많을수록 누진세율이 적용되므로, 사전에 세금 부담을 줄이는 전략이 필요하다.
2. 상속세 절감 전략
2-1. 생전 증여를 활용한 절세
생전 증여는 상속세 부담을 줄이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. 일정 기간 동안 나누어 증여하면 증여세 공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다.
✅ 증여세 공제 한도
- 배우자에게 증여: 6억 원까지 비과세
- 성인 자녀에게 증여: 5천만 원까지 비과세 (10년 단위)
- 미성년 자녀에게 증여: 2천만 원까지 비과세
증여 후 10년이 지나면 다시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, 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증여를 분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.
2-2. 부동산을 활용한 상속세 절감
부동산은 증여 시점의 평가액을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되므로, 공시가격이 낮을 때 미리 증여하면 절세 효과가 크다.
✅ 부동산 증여 절세 방법
- 가격이 낮을 때 미리 증여하여 향후 상승분에 대한 과세 부담 줄이기
- 배우자에게 증여 후 10년 뒤 자녀에게 상속하여 세 부담 이중 분산
- 부동산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일부 세제 혜택 가능
단, 부동산 증여 후 일정 기간이 지나야 상속재산에서 제외되므로, 증여 후 10년 이상 보유하는 것이 유리하다.
3. 가업승계를 활용한 상속세 절감
3-1. 가업승계 공제제도
기업을 운영하는 경우, 가업승계 공제를 활용하면 최대 500억 원까지 상속세 공제가 가능하다.
✅ 가업승계 공제 요건
- 피상속인이 10년 이상 가업을 운영했을 것
- 상속인이 2년 이상 대표이사로 재직할 것
- 상속 후 10년 동안 가업을 유지할 것
가업승계 공제를 활용하면 기업 자산을 효과적으로 이전하면서도 과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.
3-2. 가업승계 시 배당 전략 활용
가업승계 후 상속인이 기업을 운영할 경우, 배당정책을 조정하여 상속세 납부 재원을 확보하는 전략도 중요하다.
✅ 배당 전략
- 상속 개시 전부터 배당을 조정하여 자녀에게 미리 현금 유동성을 제공
- 기업이 보유한 유보금을 활용하여 상속세 납부 부담 완화
4. 보험을 활용한 상속세 절감
4-1. 상속세 납부 재원 마련
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사망 후 6개월 내에 신고 및 납부해야 하므로,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. 이를 위해 상속세 납부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보험상품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.
✅ 보험을 활용한 상속세 절감 방법
- 종신보험에 가입하여 상속세 납부 재원 확보
- 피상속인이 보험료를 납부하고, 사망 후 수익자가 상속세로 활용
- 보험금이 상속재산으로 간주되지 않는 상품 활용
특히 법인 소유 보험을 활용하면 상속세 부담을 더욱 낮출 수 있다.
5. 상속세 신고 시 유의할 점
5-1. 사전 증여 재산 포함 여부 확인
피상속인이 사망 전 10년 이내에 증여한 재산은 상속세 과세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. 따라서 증여 후 일정 기간이 지나야 상속세 부담을 줄일 수 있다.
✅ 사전 증여 상속세 포함 기준
- 직계존속·배우자: 10년 이내 증여 재산 상속세 포함
- 직계비속·기타: 5년 이내 증여 재산 상속세 포함
5-2. 감정평가를 통한 적절한 자산 평가
부동산이나 비상장 주식을 상속할 경우, 감정평가를 활용하면 자산 가치를 조정하여 세 부담을 줄일 수 있다.
✅ 감정평가 활용 전략
- 시장 상황에 따라 자산 평가액이 낮을 때 상속 진행
- 시세보다 낮은 평가액을 적용할 수 있는 감정평가기관 활용